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지지 인목(寅木) 이란?

물과 친한 호랑이(寅)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지 인목(寅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다시 아래 지지 표를 한번 훝어 보시고 넘어가시죠.

 

인목(寅木)은 2월 초에서 3월 초까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입춘에서 경칩이죠. 아직 진정한 봄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대지에 냉기가 아직 남아 있죠.

분명 양목(陽木)인 인목(寅木)인데 아직 세상은 춥습니다.

하지만 봄나물이라든지 아주 작은 생명의 태동이 시작됩니다.

 

명리학에서 새해는 입춘을 기점으로 새해라고 합니다.

동지를 보는 관점도 있지만 이는 간단히 말해

천간 즉 우주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얘기하는 관점입니다. 동지를 지나면

다시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양의 순환으로

들어갔으니 이를 기점으로 새해를 보아야 한다는 관점입니다.

 

반면 입춘을 기점으로 새해를 보는 관점은 지지

즉 현실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관점입니다.

입춘은 되어야 대지의 변화가 시작되지요. 

이것을 새해의 시작으로 보는 관점입니다.

 

저는 입춘을 새해로 보는 관점입니다^^

 

 

 

 

 

 

인목(寅木)은 호랑이를 뜻합니다. 나무로는 큰 소나무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요즘은 많이 없지만 가끔 집에 호랑이가 산을 내려 오고 옆에 소나무가 

그려져 있는 그림을 종종 걸어 놓은 집들이 있었습니다.

나름 의미가 있는 것이죠. 인목(寅木)은 수탕기호(水宕騎虎) 라고 하여

넘쳐나는 수(水)의 기운을 모두 흡수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원국에 수(水)가 과다하거나 수의 세력이 화(火)를 극할때 

인목(寅木)을 뜻하는 그림을 걸어 두어 수기를 조절하려고

한 것입니다. 풍수의 비보압승 개념과 비슷합니다.

 

일종의 부적의 느낌으로 사용할 정도로 인목(寅木)은

존재감이 있습니다. 실제로 인목(寅木)이 강하거나

생조가 잘되어 있는 원국인 경우 명예욕 즉 

존재감이 강하거나 존재감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존재감, 자존심이 강하여 여기에

상처를 받으면 몹시 삐둘어질려고 하는 경향도 

많습니다. 실제로 가출도 많이 합니다^^

그리고 본인의 자존심이나 명예, 존재감 때문에

타인을 인정 안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인목(寅木)은 권력의 글자이기도 하니까요^^

 

오늘은 인목(寅木)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꾸벅^^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 진토(辰土) 란?  (0) 2022.01.06
지지 묘목(卯木) 이란?  (0) 2022.01.05
지지 축토(丑土) 란?  (0) 2022.01.03
지지 자수(子水) 란?  (0) 2021.12.31
지지 해수(亥水) 란?  (0) 2021.12.31